안녕하세요, 고득점 멘토 11기 고우석사입니다.
지난번 칼럼들에서는 아이엘츠 독학을 결정하신 분들을 위한 독학 공부 계획 세우기와 아이엘츠 각 과목별 독학 팁에 대해 알아보았는데요, 오늘 칼럼에서는 모든 아이엘츠 과목에서 기초가 된다고 할 수 있는 단어 외우기에 대해서 작성해보려고 해요. 특히 시간이 부족한 분들을 위해 아이엘츠 단어를 쉽게 외울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소개해 보겠습니다.
아이엘츠 단어 외우기가 중요한 이유
당연한 이야기 이겠지만 아이엘츠 시험은 아는 단어가 많을수록 유리합니다. 리딩 과목에서는 단어를 많이 알면 해석이 안되는 문장이라도 맥락상 지문을 파악할 수 있게 되고 그렇게 된다면 전체적인 지문을 읽는 속도가 빨라지게 됩니다. 리스닝 과목에서 역시 단어를 잘 알면 영어 음성 듣기에 대한 자신감이 올라가고 주관식 답변에서 잘 듣고도 단어 스펠링 때문에 아쉽게 틀릴 가능성이 낮아질 수 있지요. 라이팅이나 스피킹 과목에서는 무려 평가 기준으로 어휘력(Lexical Resource)가 있습니다. 이렇게 단어는 모든 아이엘츠 과목의 기초가 되는 중요한 부분인데요, 오늘은 아이엘츠 공부를 할 때 단어를 더 잘 기억할 수 있는 팁과, 수 많은 단어 중에서 어떤 단어를 중점적으로 외워야 할 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이엘츠 단어 외우기 TIP: 나만의 단어장을 만들어서 반복 학습 하기
나만의 단어장 만들기
아이엘츠용 단어장을 반복해서 외우는 것도 좋지만 제가 추천하는 방법은 리딩 지문이나 리스닝 스크립트에 나오는 단어 중 모르는 단어들을 따로 모아 개인별 단어장을 만드는 것입니다. 단어 종류는 셀 수 없이 많지만, 아이엘츠 시험에서 반복적으로 나오는 단어들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리딩이나 리스닝 문제를 푼 후 복습을 할 때, 항상 지문이나 음성 스크립트에서 모르는 단어가 없는지 체크를 하고, 그 단어들을 노트에 모아서 자신만의 단어장을 만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이 방법을 통해 단어를 외우면 리스닝이나 리딩 문제를 풀면서 봤던 단어를 한번 더 학습하는 효과가 있고, 단어를 외울 때 단순히 맥락 없이 외우는 것이 아닌, 단어가 쓰이는 맥락을 고려해서 외울 수 있기 때문에 무작정 단어를 외울 때보다 조금 더 수월하게 단어가 외워지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아이엘츠 문제를 푼 후 복습시간을 통해 모르는 단어를 정리하고 외우다보면, 어느새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아이엘츠 어휘들에 익숙해질 수 있을 거에요.
시간은 부족한데 외워야 할 단어가 너무 많다면?
물론 단어는 많이 알수록 좋지만 단어를 정리하다 보면 이 많은 단어를 전부 외워야 하나? 하는 의문점이 드실 거에요. 아이엘츠 시험까지 한 달 밖에 남지 않았는데 외울 단어가 너무 많다면 각 과목에 따라 특히 중요한 단어들을 위주로 외우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리딩과 리스닝은 풀었던 문제들을 바탕으로 특히 중요한 단어를 골라서 외우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리딩: 과학, 천문학 등 전문적인 용어 보다 해석에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는 동사 위주로 단어장을 만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형용사 같은 경우도 외워야 하는 양이 너무 많다면 긍정적/ 부정적 이런 느낌으로 간단하게 맥락 파악을 할 수 있도록 외우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리스닝: 리스닝은 특히 maps 유형에 나오는 단어들이 점수를 올리는데 가장 핵심적인 것 같아요. Maps 유형에 생소한 전치사 들이 가끔 등장하는데 이때 헷갈려서 음성을 한번 놓쳐 버리면 다음 문제까지 영향이 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위치를 나타내는 전치사 등의 단어에 신경쓰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예를 들어서 branch off from A(A에서 빠져 나오는), on the far side=across from(건너편에), at the junction with(교차로), on the band(굽어진 곳에) 이런 표현들은 생소하지만, 한번 외워두면 그 다음 듣기에서 부터는 잘 들리기 때문에 지도 유형에 자주 나오는 단어나 전치사 등을 따로 정리해 두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라이팅이나 스피킹 과목은 과목 자체가 생소한 만큼 너무 어려운 단어를 쓰기 보다는 아는 단어인데 고급스러운 단어들고 동의어를 위주로 외우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라이팅: 라이팅은 점수 평가 항목에 어휘력(Lexical Resource)이 있기 때문에 자주 쓰이는 단어의 경우, 같은 뜻을 지닌 동의어들을 여러개 외우는게 도움이 되었어요.
예를 들어서 그래프를 분석하는 아카데믹 아이엘츠의 TASK1에서는 '예상되다' 라는 표현을 많이 썼는데, 그렇기 때문에 이 뜻을 지닌 동의어를 여러개 외워두었습니다. 예시로 The elderly population is projected to double to 20%, whereas the youngest age group is forecasted to halve to 7% of the population. 처럼 같은 예상되다를 다른 단어를 활용해서 쓰는 연습을 했습니다. 또한 전체의 몇%를 차지한다 라는 문장을 쓸 때도 accout for만 쓰는 것이 아니라 represent라는 동의어를 함께 사용해서 다양한 어휘를 구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writing과목의 어휘력에서 더 높은 점수를 받으실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TASK 2에서는 보통 주어진 문장에 대한 동의/비동의 등을 묻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럴때 역시 동의하다 라는 단어를 agree만 외우는 것이 아니라 advocate, support 등을 함께 외우시고 다양한 단어들을 사용하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스피킹: 스피킹 과목 역시 라이팅 과목과 마찬가지로 점수 평가 항목에 어휘력(Lexical Resource)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주 쓰이는 단어를 몇개 골라서 그 단어들을 중심적으로 외우고, 이후 동의어들로 확장해 나가는 방법을 사용했어요.
예를들어 스피킹 파트 1에서는 사는 곳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나왔기 때문에 convenient facilities, high-rise apartment, skyscraper 등 사는 곳과 함께 쓸 수 있는 단어들을 위주로 외웠습니다.
또한 스피킹 과목은 파트 2에서 그래서 너가 어떻게 느꼈냐? 라는 질문이 보통 있는 편이기 때문에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도 단순히 good/bad에서 나아가 interesting/disgusting 등으로 확장해 나가며 외웠습니다. 또 자주 나오는 인물, 사건 묘사를 하거나 감정에 대한 형용사들을 외워두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반복 학습
마지막으로 단어를 한번 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여기서 끝내지 않고 완전히 익숙해져서 우리나라말처럼 편해질 때까지 반복해서 학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즉, 이미 외운 단어이더라도 완벽하게 익숙해질 때까지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3일 뒤, 일주일 뒤, 이주일 뒤 등 본인의 스케쥴에 맞추어 외운 단어를 다시 복습하는 시간을 갖는 것을 갖는 것을 추천합니다.
지금까지 아이엘츠 모든 과목의 기초라고 할 수 있는 단어를 외우는 팁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다음 글에서는 아이엘츠 공부 스케쥴 짜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해 보겠습니다. 제 글이 아이엘츠 시험을 준비하는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궁금한 부분들은 댓글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