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엘츠 영역별 공부 방법 1 (리딩과 라이팅)
안녕하세요, 14기 지구촌 특파원 조세핀입니다!
오늘은 제가 아이엘츠 리딩과 라이팅을 공부했던 방법을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리딩
1.단어
리딩의 기본은 단어입니다. 이전 칼럼에서도 언급했지만 아이엘츠는 영국과 호주식 영어이기 때문에 생소한 단어들이 나옵니다. 그래서 참고서나 유튜브 영상들을 통해서 여러 어휘들을 익혔습니다.
또한, 지문 내에서, 그리고 문제의 보기에서 모르는 단어들이 있다면 정답을 맞춘 것과 상관없이 모두 뜻을 찾고 암기했습니다. 이게 중요한 이유는 캠브릿지나 아이엘츠를 풀다보면 단어가 많이 반복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한번 모르면 계속 모르고 문맥으로 유추하고 풀게 되기 때문에 한번 몰랐을 때 바로바로 외워야 합니다.
2. 문제 분석하기
시험 시간이 여유롭지 않기 때문에 지문을 읽기 전에 빠르게 문제의 키워드를 파악하는 연습을 해야합니다. 문제의 모든 부분을 꼼꼼하게 읽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찾는 건지, 장소를 말하는 건지, 내용 일치를 묻는 건지 등 어떤 부분을 원하는 지를 재빠르게 찾는 연습을 해야합니다. 그리고 나서 문제를 읽을 때 모든 부분을 힘을 주고 읽는 것이 아니라 키워드과 관련된 부분이 나오면 집중해서 읽는 식으로 강약을 조절하면서 읽으면 짧은 시간에 문제를 풀 수 있습니다.
아이엘츠 리딩 문제는 모든 내용을 정확하게 읽는 것 보다는 정답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또한, 보기의 선지 역시 미리 읽으면서 키워드를 파악합니다. 예를 들어서 누가 한 말 인지를 고르는 문제라면 보기의 선지에 나온 사람들의 이름을 미리 읽는 것이 있습니다.
3. 문제를 풀고 나서
문제를 풀고 나서는 지문 분석과 오답정리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지문을 분석할 때는 생소했던 단어나 표현을 찾고, 빠르게 해석이 안 되었던 문장의 구조를 파악합니다. 또한, 정답인 부분을 표시하면서 문제나 선지의 키워드가 지문을 어떤 식으로 포함하고 있는 지를 분석합니다. 지문에 있는 단어를 그대로 가져오는 경우도 있지만, 비슷한 동의어나 단어의 품사를 변화하는 등의 변형을 주기도 합니다. 정답을 맞춘 경우라고 하더라도 정답과 지문을 비교하면서 글을 어떤 식으로 문제로 만드는 지를 배워야합니다.
추가 팁 : 시간 때문에 온라인으로 응시해야 하지만 컴퓨터 화면으로 문제를 푸는 것이 익숙하지 않은 분들을 위한 무료 온라인 아이엘츠 모의고사 사이트입니다.
이 사이트의 모의고사는 최신 아이엘츠 유형과 일치하지 않는 문제들도 많이 있기는 하지만, 리딩이나 리스닝을 온라인 환경에서 응시하는 연습을 할 수 있는 곳이기 때문에 소개합니다!
이 사이트 말고도 고우해커스에 다양한 무료 아이엘츠 문제가 올라오기 때문에 함께 활용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라이팅
1. 단어 외우기
라이팅을 위한 단어는 리딩을 위한 어휘 공부와는 조금 다릅니다. 리딩은 무작위의 모르는 단어들을 공부했다면, 라이팅은 유의어를 중심으로 공부해야합니다. 아이엘츠 라이팅의 핵심은 paraphrasing입니다. 즉, 비슷한 의미의 단어들로 바꿔가면서 글을 써야합니다. 완벽하게 동일한 표현을 반복하는 것을 싫어합니다. 그래서 유의어을 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서 의무적인이라는 뜻의 단어를 Compulsory만 외우는 것이 아니라 Obligatory 와 Mandatory도 함께 외우는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단어를 외우면 패러프레이징을 할 때 많이 도움이 됩니다:)
2. 글의 계획 세우는 연습하기
아이엘츠 라이팅은 단순히 어려운 어휘와 문법을 사용한다고 해서 고득점이 나오지 않습니다. 글의 논리, 문제에 맞는 내용을 작성했는지가 정말 중요하기 때문에 글을 쓰기 전에 길면 5분 정도 글의 계획을 세워야합니다.
글의 계획을 세울 때는 문제의 유형에 따른 나의 의견을 먼저 정해야합니다. 어떤 문장의 내용에 대한 찬성과 반대를 작성해야 한다면 동의한다, 반대한다를 적으면 됩니다. 지리를 보고 묘사하는 글을 적으라고 한다면 그 장소가 시간 변화에 따른 변화인지, 도시와 시골의 비교인지와 같은 것을 먼저 적으면 됩니다.
그리고 나서 각 문단별 중심 내용과 설명, 예시를 간단하게 키워드로 작성합니다. 찬반에 관련한 글이라면 그렇게 생각하는 첫 번째 이유를 적은 후 설명을 적습니다. 설명의 목적은 이 글을 처음보는 사람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무에 중간 설명을 건너 뛰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글을 쓰고 나서 읽으면 글을 직접 쓴 당사자라서 중간에 논리가 부족해도 이해하기가 어렵지 않습니다. 그래서 다른 사람에게 보여주어 그 설명 만으로도 이해가 되는지를 확인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나서 설명을 뒷받침 해주는 예시를 계획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굳이 진짜일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마땅한 예시가 생각나지 않는 다면 유명한 언론이나 대학교의 설문조사 혹은 연구결과에 따르면 이라는 형태로 예를 들어도 괜찮습니다. 예시의 역할은 글의 논리성을 더하는 것일 뿐이고 자료 조사가 시험 중에 불가능 하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생각안나면 According to Harvad university’s research, ~ 같은 예시를 들면 됩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너무 개인적인 예시(우리 삼촌이, 내 친구가)는 들면 안된다는 겁니다. 개인적인 예시로 훌륭하게 글을 쓸 수도 있겠지만 그렇게 하는 것은 어렵고 일반화하기도 쉽지 않기 때문에 지양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패러프레이징 연습하기
아이엘츠 라이팅의 패러프레이징은 문제를 다른 표현으로 바꾸는 것으로 시작합니다. 글의 서론에 주제나 문제를 말하면서 이에 대한 나의 의견을 말해야합니다. 이 때, 시험지의 표현을 그대로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변형이 필요합니다. 유의어를 써도 되지만 동사를 명사로, 명사를 동사로 바꾸는 방식도 괜찮습니다. 또는 세부적인 수치를 커다란 범주로 넣어도 됩니다. 예를 들면 from 5 years old to 11 years old라고 되어 있다면 among young children 이런 식으로요. 글에 golf, soccer, swimming, etc라고 쓰여 있다면 sports 로 묶어도 괜찮습니다.
그리고 나서 글을 작성하면서 유의어나 품사 변형을 사용하여 최대한 다양한 표현으로 글을 작성합니다.
이 사진은 제가 실제로 작성했던 캠브릿지 13권에 있던 라이팅 문제입니다. 같은 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문제의 표현을 다른 표현으로 바꾼 것입니다. 이런 식으로 패러프레이징을 연습하시면 됩니다:)
4.고난도 문법을 적용하는 문장 연습하기
글을 쓰고 나서 접속사와 주어를 지우고 분사구문을 만들거나, 계속적 용법을 사용한 문장으로 바꾸는 연습을 합니다. 이런 식으로 조금씩 고난도 문법을 넣으면 됩니다. 모든 문장이 어려운 문법 구조가 쓰일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5. 첨삭하기
학원을 다니고 있거나 원어민 친구가 있다면 첨삭을 부탁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외국인 친구가 없고 돈을 지불하는 것이 부담스럽다면 고우 해커스의 라이팅 첨삭란을 이용하거나 챗지피티에 질문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지금까지 아이엘츠 리딩과 라이팅을 제가 공부했던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제 글이 아이엘츠를 준비하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질문이 있다면 자유롭게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