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ver Letter for Contact Email] 컨택을 위한 커버레터
작성은 유학 준비의 시작이었습니다. 남들보다 조금 더 일찍 컨택을 시작하려고 노력하였으며, 9월 14일부터 CSU를
시작으로 컨택을 시작했습니다. 커버레터에는 최대한 compact하게
저의 소개와 연구실에 대한 관심을 담으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따라서, 저는
직관적인 관심을 표명하기 위하여 희망 지도 교수님의 논문을 열거하였고, 이에 대한 흥미점과 저의 연구와
결부시키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저는 구글을 이용하여
개인사이트를 만들었으며, 여기에 제가 커버레터와 CV에 담지
못한 것을 최대한 사진과 짧은 설명으로 묘사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커버레터를 통하여 줌 인터뷰까지 이어질 수 있도록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혹여나
답장이 오지 않더라도 1~2주일 후쯤에 리마인더 메일을 두번까지 보내었습니다.
1문단: 간단한 자기 소개
2문단: 희망 지도 교수님에 대한 컨택 이유에 대한 개요
3문단: 희망 지도 교수님의 논문 언급 및 저의 연구와 공통점 언급
4문단: 현재 저의 연구활동
5문단: Technical Strength 열거
6문단: 인터뷰 요청 및 개인 사이트 언급
7문단: 감사 인사 [CV] CV는 컨택 후에도 계속하여 수정하였습니다. CV를 작성하면서
제 스펙에 대한 성찰을 할 수 있었고, 어떠한 부분을 더 노력해야 되는지에 대하여 직관적으로 볼 수
있어 일찍 작성했던 부분이 좋았던거 같습니다. 먼저, 남들보다
뛰어난 스펙이 없다고 생각하여 제가 했던 대외활동 등을 모두 포함시켜 적으려 하였고, 본인의 강점을
부각시키기 위해 노력하였습니다. 총 3페이지에 맞추었으며, CV는 최대한 1~2장에 녹여내면 좋다고 들었는데 저는 최대한 전부
담아내는게 좋다고 생각하여 모두 포함시켰습니다. 또한, CV는
본인의 강점 순으로 목차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다고 들어 아래와 같이 구성하였습니다. 그리고, 군필자의 경우 military service를 부각시키면 좋다고
들어 윗부분에 배치하였습니다. 또한, 해당 지도 교수님마다
Research Interests를 조금씩 변경하여 적었습니다. 그래서, 저는 CV를 처음의 short한
버전에서 long한 버전까지 컨택 및 지원을 하면서도 수정을 하였습니다. 그 결과 아래와 같은 contents로 구성할 수 있었습니다.
이름, 연락처, 주소, 개인사이트 주소
Research
Interests: 약 3~4개 정도의 키워드 형식으로 희망 지도 교수님와
연관된 Research Interests를 적음
Education: 편입 및 학부 고학점 부각(Rank 기입), HIT 교환학생
또한 Credit을 받았으므로 적음
Military
Service: 군필자의 경우 꼭 적으시길 추천드립니다!
Research
Experience: 학부 연구생부터 석사 과정 중 참여했던 프로젝트를 소주제로 하여 해당 프로젝트별 진행 실험 및
참여정도를 적음
Publication: 석사 학위 논문 및 초안을 완성한 1저자 논문을 적음
Conference: Oral
및 Poster 발표에 대하여 나누어 적음
Academic
Papers&Presentations: 학부 및 석사 과정 중에 교내 발표한 것들에 대하여 명시함
Awards&Scholarships:
학부 과정 중 전액 장학금을 받은 경험을 부각하였음
Extracurricular
Experience: 제가 지금까지 참여했던 대외활동에 대하여 빠짐없이 열거하였으며 어떠한 활동을 하였는지 짧막하게
설명을 적었음
Volunteer
Experience: SK SUNNY, 굿네이버스 등 교육 봉사에 관하여 주로 적었으며 봉사활동
확인서에 적시된 것을 나열하였음
Advanced
English Education: 미국 어학연수 및 BMW
인턴쉽 경험 나열
Technical
Skills: 다룰 수 있는 소프트웨어 및 기기 분석을 기입
References: 추천서를 받을 교수님을 포함하여 총 네 분을 적었으며 연락처를 기입 [SOP] SOP에 대하여 정보가 전무하던 시절 강남 해커스 어학원 유학 서류 특강을 통하여 큰 틀을 잡았습니다. 그 후, 합격자분들의 SOP를
여러 번 읽어보고 저만의 스토리를 구성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따라서,
SOP는 처음에 Brain storming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다른 분들의 SOP 참고는 당연히 도움이 되지만 본인의 강점을 어떻게
부각시키는지도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저는 희망
지도 교수님의 1저자 논문을 최대한 언급하면서 저의 현재 연구분야와 연결시키려고 노력하였습니다. 희망 지도교수님 언급은 한 분 or 여러 분을 언급하시는데 challenging할 수 있지만 전 focusing하는 게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한 분만 언급하였습니다. 또한, SOP가 학교마다
요구하는 글자수와 contents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 저는 1000자 기준인 SOP를 작성하고 이를 편집하여 500자 기준 SOP로 맞추어 작성하였습니다. 또한, PS의 contents를
SOP에 요구하는 학교도 있어 이를 병합 및 수정하였습니다. 전체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문단: 왜 이 대학원에 가고 싶은지와 희망 연구분야에 대한 개괄
2문단: 학부 연구생의 경험 및 고학점에 대한 부각
3문단: 석사 연구생의 경험 및 실적 언급
4문단: 석사 연구생의 프로젝트 경험 및 박사 진학 연구와 연결
5문단: 관심 교수님 한분 언급, 교수님의 논문을
읽고 느낀점, 저의 연구 경험과 연결
6문단: 희망 연구분야, 본인의 장점 다시 한번 언급
7문단: 박사 취득 후 장래 희망과 그 이유, 박사
취득의 이유 및 목표 언급 [PS or Diversity Essay] PS는 몇몇 학교가 요구하여 하나의 form을 완성한
뒤 그에 요구하는 조건에 맞추어 단락만 편집하며 조금 수정하였습니다. PS는 학부 때부터 해왔던 봉사활동
및 대외활동이 많아 작성에 큰 어려움은 없었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PS 주제가 평등 및 사회에 대한 헌신을 위한 활동 등에 관하여 적는 것이기에 이에 관하여 하나의 flow로 만드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글자수도 많지 않아 일찍이 작성을 완료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PS를 요구하지 않는 학교도 있었는데 other documents에 첨부하였습니다. 전체적인 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1문단: 고등학교에서 가정 환경 등으로 양질의 교육을 받지 못하는 친구들을 발견
2문단: 굿네이버스 초등학생 대상 방학 교실 교사 활동 및 느낀점
3문단: SK SUNNY 생활 폐기물 감소 교육 봉사활동 및 느낀점
4문단: 다양한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내 대외활동 및 느낀점
5문단: 양질의 대외활동을 통한 총괄적인 느낀점 및 미래의 학생들을 위한 교육 제공을 하고 싶다. 추후 독립된 연구자로 학생들의 교육에 신경을 쓰고 싶다. [Sample of Work] 석사 학위 논문, SCI 논문 1저자 초안, 국내
학회 Oral 및 Poster 발표자료와 그에 해앙하는 초안을
전부 포함시켜 PDF로 변환하여 이를 요구하는 학교에 업로드하였고, 요구하지
않더라도 Other documents에 업로드하였습니다. [Professional Development] 지금껏 해왔던 대외활동
인증서, 프로젝트 참여 증명서, 봉사활동 확인서, 장학증명서, 자격증 등을 영문으로 변환하여 포함시켰습니다. (영문 변환이 불가능한 서류도 그냥 포함시켰습니다.)
저는 모든 서류들을 고우해커스 게시판을 이용하여 많이 참고하였습니다.
특히, 어드미션 포스팅에 있는 글들을 많이 참조하여 적었고, 저만의 identity 및
strength를 부각시키려 노력하였습니다. 또한, 초안을
작성 후 지도 교수님 및 연구실 학생 등 주변 사람들에게 피드백을 요청하였습니다. 또한, 서류 교정에 도움 주신 분을 고우해커스 어드미션 포스팅 작성자 분 중 한 분을 통하여 소개를 받아 최종 완성하게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