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저는 직장인이자 해외석사 결심 후 IELTS 7.5를 독학으로 취득하였고, 그 노하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
사실 제 실력이나 생각보다 좀 낮게 나와서 당황(?)했지만, 영어는 미니멈만 넘기면 되니 GRE나 다른 부분에 시간 투자했고 그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GRE를 보셔야하는 분들이 있다면, [GRE비법노트] 게시판에 제 포스팅이 있으니 참고하시길 바라요!
GRE 공부방법 https://www.gohackers.com/?c=gre_gmat/gre_info/greknowhow&type=url&uid=593681
버벌 단어암기 방법 https://www.gohackers.com/?c=gre_gmat/gre_info/greknowhow&type=url&uid=594181
[Listening]
1. Cambridge IELTS pdf 다운받아서 계속 문풀할 것
- 시중에 여러 책들이 있지만, 가장 가까운 난이도는 캠브릿지 책이라고 생각합니다. 현재 기준 19판이 최신이라고 알고 있으며, 별도로 구매할 필요 없이 구글에서 Cambridge IELTS pdf 검색하셔서 다운받아 문제푸세요.
2. 컴퓨터 베이스로 문제풀 수 있는 사이트 활용
- 아시다시피 아이엘츠는 CBT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와 가장 비슷한 환경에서 연습해야 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ielts training online, practice pte online 이라는 사이트를 활용했어요. 전자는 화면이 깔끔해서 보기 좋았고, 후자는 진짜 시험처럼 직접 입력해볼 수 있어서 좋았습니다. 이 사이트들은 캠브릿지 교재를 컴퓨터로 푸는 것이고, 실제 시험 화면이랑은 차이가 좀 있습니다. 실제 화면에 익숙해지려면 공식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mock test 하고 가세요!
(ielts training online 사이트) https://ieltstrainingonline.com/cambridge-practice-tests-for-ielts-listening/
(practice pte online 사이트) https://practicepteonline.com/cambridge-ielts-1-13-tests/
(실제화면과 비슷한 연습)
- https://ieltsonlinetests.com/collection/ielts-mock-test-2023-december
- https://ielts.idp.com/bangladesh/prepare/mock-test
3. 리스닝 본격 시작 전 글씨크기 키우기, 하이라이팅 활용하며 문제읽기
- 문제 풀기 전 해야할 것은 토익과 매우 유사합니다!!!! 해커스 토익에서 배운 것 그대로 써먹었어요. 시작 전에는 늘 샘플문제 설명이 포함되어있기 때문에 샘플문제 나오는 동안에는 글씨크기 키우시고 문제에서 읽어야 할 부분 하이라이팅 (커서로 긁으면 됩니다) 하세요. 그러나 설명이 끝나고 본격적인 대화가 시작하면 이젠 문제만 보세요. 종이와 연필 나눠주니까 표시할 시간 없으면, 문제번호와 답 적고 리스닝 끝나고 마지막에 답체크하는 시간을 활용하세요.
4. 파트별 전략
- Part1는 난이도가 낮고 순서대로 대화가 진행되니 때문에 들으면서 바로 답을 고르거나/적는 것을 추천합니다.
- Part2,3 는 사전에 문제를 봐야하고, 객관식 보기에 나온 단어들을 집중해서 들어야합니다. 필요한 경우 우선 종이에 적고 이후에 문제를 푸는 것도 됩니다.
특히 이 파트에서는 "단어"가 그대로 나오면 낚시일 확률이 90%입니다. But, However 뒤에 나오는게 정답이니까 그걸 들으셔야 돼요.
- 지도나 그래프 나오는 문제들은 제목, 지명, 위치 등을 꼭 확인하세요. (예) to the left side of 대상 : 대상 왼쪽으로
- Part4도 들으면서 바로 답을 고르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파트에서는 문제에서 한 사람만 동의하는지 둘다 동의하는지 함정있으니 주의하세요. (예) 여자만 agree / Both agree ?
5. 주의할 점 및 꿀팁! ★★★★
- 정말 중요한 건데... 혹시나 못들으면 놓친 애들은 그냥 놓아주어야 합니다. 다른 문제까지 못들으면 안돼요 Let it go....
- I would have / I wouldn't 이렇게 시작하는 것들은 발음 주의해서 들으세요. 은근히 답인 것같은 내용으로 흘러가다가 although~ 반전이 나올 수 있어요.
- 리스닝 및 리딩에서 대소문자 구분을 안하면 틀리는데, 다 대문자로 적으면 정답처리 됩니다.
예를들어 답이 Teachers 라면, teachers 라고 적으면 틀리지만, TEACHERS 라고 적으면 맞습니다!
- 단위 적을 때는 Sixty kilometres / 60 kilometres / 60 km / 60 kms 다 가능
- 날짜 적을 때는 March 5th / Mar 5th / 5th of Mar / 03/05 / 5/3 다 가능
- 순번 적을 때도 1st (first) 2nd (second) 3rd (third) 4th (fourth) 다 가능
- 시간 적을 때는 6:45 = Six forty-five OR Quarter to seven / 6:15 = Six fifteen OR Quarter past six
- 전화 번호 등 적을 때 0은 '오'로 발음, 2450 - 7762 - 3338 = Double seven/ Triple three 주의할 것
- 우편번호, 전화번호 말할 때 쉬고 말하면 띄어쓰기 반드시 해주세요. 그리고 지명은 헷갈리기도 하니까 전체 발음 받아 적어두세요.
[Reading]
리딩은 토플보다 난이도가 훨씬 낮은 편에 속해서 캠브릿지로 계속 문제 풀어보고, 컴퓨터 베이스에 익숙해지는게 중요합니다. 저만의 전략이라고 할 것은 딱히 없고 정말 정직하게 문제 많이 풀고, 틀리는 문제는 어느 부분에서 낚였는지 확인하고 실수를 줄이려 했습니다.
1. Cambridge IELTS pdf 다운받아서 계속 문풀할 것
2. 컴퓨터 베이스로 문제풀 수 있는 사이트 활용
3. 리딩은 리스닝과 반대로 글씨크기 줄이고 (아니면 스크롤 너무 많이 해야함...) 하이라이팅 적극 활용하기
[Speaking]
저는 개인적으로 스피킹을 두려워하지 않아서 준비를 제일 적게 했고, 나름의 팁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구체적으로 질문이 있으시면 댓글로 적어주세요! 아는 선에서 성실히 답변 적어보겠습니다.
1. 아이엘츠브로 사이트 (중국의 아이엘츠 커뮤니티) 활용해서 기출문제 파악하기
2. 실수했다고 해서 쫄지말고 계속 이어가기. 아이엘츠 스피킹은 점수를 깎는 시험이 아니라, 보여준 만큼 점수를 받는 시험입니다.
3. 질문한 내용 외 내용을 길게 말하지는 마세요. 길게 말한다고 좋은 점수를 받는 것은 아닙니다. 1) 질문에 대한 대답부터 말하고 2) 뒷받침 근거 3) 자기 경험 4) That’s why ~ 이런식으로 마무리 하세요. 계속 말하다 보면 질문/주제와 어긋나는 엉뚱한(?) 답변을 하는 나를 발견하게 됨...ㅋㅋㅋ
4. 시험관의 질문에서 쓰인 단어를 되풀이해서 말하는 것은 피해주세요! 다른 언어 혹은 나의 언어를 사용해서 나의 언어적 활용도가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이미 물어본 질문에 I would like to talk about ~ 이런 식으로 질문 반복하지 말고 바로 대답하고 근거를 한 문장 더 말하는게 좋습니다.
5. 혹시 시험관이 내가 말하는 중간에 말을 끊더라도 당황하지 마세요! 저는 그 흐름에 말렸지만 그냥 웃으면서 okay! 하셔도 됩니다.
6. 했던 말 취소하고 다시 시작하고 싶다면, "Actually let me rephrase it." 혹은 "Let me self correct it." 라고 말하고 다시 시작하세요!
[Writing]
1. 해커스 아이엘츠 라이팅(Hackers IELTS Writing) 교재 사서 유형과 모범답안 익히기 ★★★★
- 저는 라이팅에 시간을 굉장히 많이 쏟았는데, 라이팅이 처음이신 분들은 무작정 써보기보다는 출제 유형을 익히는게 중요합니다. 이 책은 유형별로 (특히 그래프는 그래프 종류별로) 어떤 점을 써야할지와 어떻게 서술할지 방향성을 제공합니다. Task 1은 이 책으로만 공부해도 충분했습니다. 모범답안의 방향을 익히되 반드시 그대로 할 필요는 없고, 좋은 표현들만 따로 정리하길 추천합니다.
2. Cambridge IELTS 문제활용 구글 sample answers 활용하기
- 구글에 IELTS writing task2 topic 혹은 IELTS writing sample answers band 7 이런식으로 검색하시면 문제별로 샘플답안이 많습니다. 여깄는 샘플들은 꽤나 '잘' 작성된 아이들이기 때문에 "무조건 이렇게 써야한다!" 라는 강박은 버리시고, 좋은 표현들만 보고 따로 정리하세요. (제가 정리한 방식을 아래에 붙여놨으니 참고하세ㅛ
3. 필요하다면 해커스 강의나 첨삭 활용하기
- 라이팅은 리딩이나 리스닝처럼 양치기로 늘 수 있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고 생각해요. 따라서 글쓰기를 시작도 못하겠다! 한다면 전문가의 도움이나 팁, 스킬을 얻는 것도 효율적이라고 생각합니다.
4. 브레인스토밍은 Task1 5분 이내, Task2 5~10분 이내로 하고, 미리 라이팅 템플릿 만들기
- 라이팅할 때 브레인스토밍하면서 "예시 - 결과" 로직을 생각하는게 좋습니다. 이래야 글을 쓸 때 논리적이고, 브레인스토밍이 논리적이어야 글을 쓸 때 근거를 바꾸게 되는 불상사가 없고 시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한편, 지나친 일반화는 안되고 예시는 구체적일수록 좋지만 본인 개인의 경험은 좋지 않습니다.
다들 아시다시피 Task2는 물어보는 유형이 정해져있고, 서론-본론-결론마다 시작문장과 맺음말 문장은 거의 템플릿처럼 정해두는게 시간절약에 좋습니다. 저의 경우 저만의 요약본을 만들었는데요.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도록 아래 공유합니다.
[ 나만의 요약본 for Task 1 - 이건 해커스 교재 도움을 진짜 많이 봤어요 ]
서론 (1-2문장, 그래프정보 + 시간) (명확한 과거 조사결과는 과거형으로 쓰기)
The 00 graph / chart / table provides information about / highlights A in a single country, with a further classification by B
차트면 차트라고 쓰지 그래프라고 바꾸지 말기
compare 00 in terms of 기준/카테고리 (s 안붙임) -wise : 기준 디테일 나열 해줘도됨
compare A with that of B
in 2010 = in the year of 2010
in 2010 and 2020 = in the years of 2010 and 2020 = between the years of A and B
number of = quantity of
changes in ~ = how much changed
per week = a week
at least ~ = no less than ~ = a minimum of 금액
a majority of 셀 없 / 복수 + 뒤에 명사에 수일치
the number of ~ = the volume of ~ = the figure of ~
팩트 아니고 조사결과 등 내용상 과거면 본문은 다 과거형으로 써야 함
Overview (파이)
- Overall,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 contributed the least to ~, while ~
- In comparison, at the end of the period, ~ became the largest segment in ~
- Overall, it is clear that 공통점. However, 차트 1 shows ~ whereas ~ is different in 차트 2
- Overall, there were a lot of changes in ~ / a variation / the preference for ~ had varied over the years.
- 차트1과 차트2 차이점
- By comparing the two diagrams, it is clear that 차트 1 특징.
- On the other hand, 차트 2 ~ shows
Overview (막대)
- Overall, at the beginning of the period, ~ contributed the least to ~, while ~
- In comparison, at the end of the period, ~ became the largest segment in ~
- Overall, A experienced a downward trend, while B showed an upward trend throughout the period.
- In the meantime, both ~ had some fluctuations. Although A initially had a lower rate, it outpaced B at the end of the period.
Overview (꺾은 선)
- The 00 rates of A and B showed a steady but significant rise over the period, while the percentage of 00 in B experienced a downward trend
- The pattern was the same at all ~ levels/groups
Overview (표)
- Overall, A reported that they ~ while B responded that. Theses categories = These groups
Overview (다이어그램, number of stages + how the process begins and ends 2문장 넘어가면 X)
- Overall the process can be divided into two sub-processes: A, B, and C. A include step 1 to 10, and B ~
- Overall, the process consists of eleven stages, beginning with ~ and ending up with ~.
[ 나만의 요약본 for Task 2 ]
Agree / Disagree ➜ 무조건 찬/반 1개만 To what extent ➜ 부분도 가능, 찬/반 정도를 분명히 표현
(서론)
도입문장
문제에 제시된 주장내용을 적되 도입문장과 어울리게
I firmly agree/disagree with the idea that 제시된 내용 because 이유 간단하게
(본론1) 이유1 + 예시 + 예시의 결과 + 맺음말
(본론2) 이유2 + 반복
(결론 - 동의)
In conclusion, 문제에 제시된 주장내용 패러프레이징
동의내용(동명사 형태) can provide 이유1. Moreover, 이유2.
Therefore, ~
(결론 - 비동의)
In conclusion, 문제에 제시된 주장내용 패러프레이징
Although 내 주장 반하는 내용 장점, 내가 쓴 이유1.
Moreover, 이유2.
Therefore, I disagree with the idea that 내 주장 반하는 내용
Advantages/Disadvantages ➜ 해결책 물어보지 않는 이상 쓰지말기
(서론) 장단점 구체적으로 안되고, 그냥 문제 서술내용 바꿔쓰기 정도. 너무 없으면 general 예시 정도
도입 문장
While such a trend can influence (or has influenced) society significantly, the benefits and drawbacks of this issue will be analyzed in this essay.
(본론1) 장점
(본론2) 단점
(결론)
In conclusion, whether 문제내용 carries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장점 내용 whereas 단점 내용
(필요할 때만) Therefore, instead of excessively criticizing this issue, it would be prudent for us to understand the benefits and come up with methods to mitigate the downsides.
Advantages/Disadvantages + Outweigh ➜ 장/단 둘다 써주되 주장하는 쪽 근거 더 탄탄
(서론)
도입 문장
While such a trend may 문제 속 긍정내용, drawbacks certainly have bigger impact on society.
This essay will analyze both benefits and drawbacks of this issue and elaborate why 단점 surpass 장점.
(본론1) 장점 1개 - 단, 부족한 쪽 먼저
(본론2) 단점 2개 - surpass 하는 놈 보내기, 더 탄탄해야함
(결론)
In conclusion, whether 문제내용 carries both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While 장점 본론 is valid, 단점1 can bring more significant ~ in a long-term / from ~ perspective.
In addition, 단점 2 ~ in a long-term / from ~ perspective.
Positive/Negative Development ➜ 무조건 긍정/부정 1개만, 해결책 물어보지 않는 이상 쓰지말기
(서론) 장단점 구체적으로 안되고, 그냥 문제 서술내용 바꿔쓰기 정도. 너무 없으면 general 예시 정도
도입 문장
While 내가 주장할 거 반대내용, this essay will elaborate why such a trend is a negative development.
(본론1) 이유1 + 예시 + 예시의 결과 + 맺음말
(본론2) 이유2 + 반복
(결론)
In conclusion, whether 긍정인지 부정인지는 can be still debatable.
While 문제내용 is seemingly a positive change, it brings 이유1.
Moreover, 이유 2 in a long-term / from ~ perspective.
(필요할 때만) Nonetheless, instead of excessively criticizing (arguing) this issue, it would be prudent for us to develop methods to maximize the benefits and mitigate the downsides.
Cause + Positive/Negative Development ➜ 긍정/부정 1개만, 해결책 물어보지 않는 이상 쓰지말기
(서론)
도입 문장 (필요하면 2문장도 괜찮)
This essay will explore the reasons contributing to this issue and elaborate why this change(trend) is a negative development.
(본론1) 원인 2개 + 구체적 예시 + 예시 이후는 결과
(본론2) I am of the opinion that 긍정 / 부정 + 이유 2개 or 이유 1개와 구체적 예시
(결론)
In conclusion, 원인 1+2 create ~ and result in 명사 / cause 문제내용
While it seems to be a natural occurrence in modern society, it can ~내 이유.
Moreover, 이유 2 in a long-term / from ~ perspective.
Both views / Opinion ➜ 내가 A에 동의한다 하더라도 B에 대한 의견도 써야함
(서론)
도입문장
There are differing opinions whether ~
In this essay, both views will be elaborated along with my own opinion.
(본론1)
On one hand / Some people argue that A 의견 because 이유
A에 활용될 수 있는 예시 + 해당 예시의 긍정적 결과
However, I am of the opinion that A 이유 단점 설명
Thus, it is still debatable whether A 이유 can be accepted in ~ / valid.
(본론2)
On the other hand / Meanwhile, B is often mentioned as ~
B에 활용될 수 있는 예시 + 해당 예시 결과
My support goes to the idea of B because B가 가져오는 또 다른 긍정내용 particularly.
해당 긍정내용에 따라 얻을 수 있는 결과 (롱텀, 거시적 관점에서 써도 굿)
(결론)
In conclusion, whether 문제내용 is still a contentious issue.
While A의견 might seem valid, it still has 본문 서술한 A 이유 단점. In contrast, B provides 본문내용
Moreover, 내가 제시한 또 다른 본문 B 내용.
(필요할 때만) Therefore, B를 장려하는게 좋을 것이다.
Causes / Solutions ➜ 해결책 사회적 / 환경적 / 경제적 등 파트 나눠서 제시하면 Good
(서론)
도입 문장 (필요하면 2문장도 ㄱㅊ)
This essay will explore the contributing factors to such a problem and put forward possible methods to address it.
(본론1) 원인 2개 + 구체적 예시 + 예시 이후는 결과
(본론2)
There are several solutions being discussed across the world to address this issue.
One of the oft-mentioned methods is ~ 해결책 1 as 해결책 이유
This is a good way to solve ~ from a 사회/환경/경제 perspective.
Another solution is 해결책 2 (동명사로).
By ~, 해결책 이유
(결론)
In conclusion, 원인 1+2 create ~ and result in 명사 / cause 문제내용
To address this issue, we can 해결책 1.
해결책1이 왜 이유가 되는지
In addition, 해결책 2 can be also considered as 해결책 이유
저는 초고득점이 목표는 아니었기 때문에, 단기간에 원하는 만큼만 획득하고자 하는 분들께는 나름 도움이 되지 싶습니다.
혹시라도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 달아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