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14기 지구촌 특파원 조세핀입니다!
오늘은 리딩과 라이팅에 이어서 아이엘츠 리스닝과 스피킹을 공부했던 방법을 알려드릴려고 합니다!
-------------------------------------------------------------------------------------------------
리스닝
1. 단어
앞선 칼럼에서도 단어가 중요하다고 이야기 했었습니다. 리스닝과 스피킹 모두 단어가 중요하지만 리딩과 라이팅과는 다른 단어 공부가 필요합니다. 리스닝 단어는 문제와 선지, 스크립트에 사용된 단어들을 중심으로 공부해야 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반드시 발음을 함께 공부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영어는 파닉스를 배웠다고 하더라도 단어에 따라 발음이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따라서 자신이 생각한 것과 실제 영어 발음이 다른 경우가 많습니다. 발음을 모르면 리스닝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공부할 때 꼭 발음을 함께 공부해야 합니다.
찾아보면 무료로 활용할 수 있는 단어장 어플리케이션이 많습니다. 만약에 해커스 단어장으로 단어를 외우고 있다면 해커스 단어장 어플을 활용할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단어장과 동일한 구성이라서 단어를 한번 더 복습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연습 문제들이 제공됩니다.
네이버 단어장, 해커스 어플처럼 단어의 발음과 뜻을 함께 들을 수 있는 다양한 도구가 많습니다. 이러한 도구를 활용해서 시간이 남을 때 마다 단어의 발음과 뜻을 함께 라디오처럼 틀어놓고 듣는 것을 추천합니다:) 아니면 지하철이나 버스에서 단어 퀴즈를 풀면서 외웠던 단어를 복습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배속
아이엘츠를 공부할 때 가장 기본이 되는 교재는 Cambrige에서 나온 것입니다. 그러나 그 책의 오디오 파일은 실제 시험보다는 약간 느립니다. 특히, 시험에 긴장하면 더 빠르게 느껴집니다. 공부할 때 1.25배속으로 여러 번 듣는 다면 실제 시험장에 갔을 때 속도가 느리게 느껴져서 더 잘 들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약간 빠른 속도에 익숙해지는 것을 추천합니다.
3. 딕테이션
딕테이션 연습을 추천합니다. 아이엘츠 리스닝 유형 중에는 단어를 통으로 적어야 하는 유형도 있습니다. 내용 이해나 일치 문제는 대화의 문맥을 통해 유추가 가능하지만, 단답형은 놓치면 끝입니다. 딕테이션 연습을 통해서 정확하게 단어를 들을 수 있도록 훈련해야 합니다.
딕테이션을 연습할 때는 미리 만들어진 딕테이션 용 자료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만약, 그런 자료를 찾기 어렵다고 한다면, 아이엘츠 오디오 파일을 한문장 씩 받아쓰기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받아쓰기 후 꼭 채점을 하고 나서 그 부분을 다시 들어야 합니다! 이런 연습을 하다보면 평소에 자주 놓치는 발음을 알 수 있어서 듣기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도 큰 도움이 됩니다.
4. 쉐도잉
리스닝 파일을 들으면서 동시에 따라하는 쉐도잉은 말하기 뿐만 아니라 듣기에도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단어 하나 하나의 발음을 안다고 하더라도 문장에 들어가면 그 발음이 달라집니다. 영어는 단어의 강세가 있어서 한 단어에 약하게 발음나는 부분은 문장에서 거의 들리지 않기 때문입니다. 쉐도잉을 하면서 실제로 발음하다 보면 단어가 어떤 식으로 문장에서 소리가 나는 지 알게 되어 더 잘 들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리스닝 대본을 따라서 말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다양한 표현과 구조가 입에 익기 때문에 스피킹 파트 준비에도 도움이 됩니다.
쉐도잉을 할 때 주의해야할 점은 자료를 고르면 그 자료를 반복해서 말해야한다는 것입니다. 매번 다른 자료로 연습하는 것은 큰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한 자료를 최소 10번은 반복해서 따라말한다는 생각하고 반복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구문단위로, 그 후 문장, 문단, 자료 전체 이런식으로 조금씩 끊어서 따라합니다. 무작정 따라하는 것이 아니라 처음에는 구문이나 의미 단위로 문장을 나누어 말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다가 익숙해지면 점자 긴 호흡으로 말하면서 긴 호흡으로 영어 단어가 어떤 식으로 발음되고, 어떤 문장구조가 사용하는 지를 익힌다면 리스닝과 스피킹 모두에게 도움이 됩니다:)
-------------------------------------------------------------------------------------------------
스피킹
1. 단어와 표현
스피킹의 단어는 많이 외우는 것 보다는 입에서 나올 수 있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해야합니다. 한국에 살면서 영어로 대화할 일이 많지 않습니다. 그러다 보니 그 단어의 발음도 뜻도, 철자도 알지만 막상 말해야 할 때는 떠오르지 않는 경험을 자주 겪게 됩니다.
저의 경우에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특정 단어와 관련한 단어들을 생각나는 대로 말하는 연습을 많이 했습니다. 마인드맵을 말로 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이런식으로 말하다 보면 알고 있었지만 잘 떠오르지 않았던 단어들을 입에서 나오게 할 수 있습니다.
2. 표현배우기
문어와 구어체는 다릅니다. 유튜브에 영어로 아이엘츠를 치면 무료로 많은 자료를 찾을 수 있습니다.
3. 녹음 및 대본 기록
답변을 녹음한 후 그것을 대본으로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그 문장이나 표현을 다른 방식으로 바꿀 수 있는 경우의 수를 생각한 후 다시 말을 하면서 다양한 표현을 연습했습니다. 그리고 대본을 쓰거나 녹음을 하면 말을 할 때의 멈춤, 억양, 속도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자주 하는 문법적인 실수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피드백 받기
해커스 사이트에서도 무료로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 저의 경우 가장 학교 커뮤니티에서 영어 회화 연습을 하는 스터디에 들어가 피드백을 받았습니다. 원어민 친구나 기존에 전화 영어나 화상영어를 하고 있다면, 선생님께 부탁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지금까지 아이엘츠 리스닝과 스피킹을 공부했던 방법을 소개했습니다. 제 글이 아이엘츠를 준비하는 모든 분들에게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질문이 있다면 자유롭게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