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기본항목 |
Header |
- 'Header'라는 타이틀은 쓰지 않는다.
- 첫 페이지 최 상단에 이름, 주소,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를 적는다. 이름과 성은 띄어 쓰고, 첫 자는 대문자로 쓴다.
- 영어애칭이 있을 경우 괄호 안에 기입한다.
- 주소는 세줄 이하로 처리한다.
- 전화번호는 즉시 연락이 되는 것으로 기입한다 |
Career Objective |
- 제목을
'Objective'라고 쓰고, 자신이 취득한 정보에 따라 자신이 지원하는 자리를 설명하는 내용을 3줄 이내로
쓴다. |
Experience
(Work Experience /Employment) |
- 자신의 경력에 맞는 표현을 선택해서 쓴다. 경력 순서는 원칙적으로 최근의 것부터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면서 적는다.
- 소제목에서 다음 줄로 바꾸고 같은 열에 근무기간을 적는다.
- 다음 일정한 간격을 띄고 직장명과 직장의 소재지를 적는다. 다음 줄에는 직책을 Full name으로 기입하고, 밑줄 등으로 알아보기 쉽게 강조한다. 그 다음 줄에는 자신의 업무를 간단히 1~2 줄 정도로 기술한다. |
Education |
- 대학
이상의 학력을 쓰는 것이 보통이다.
- 최소한 2년 이상 공부한 기관이 해당된다.
- 학위와 전공, 학교명 및 소재지, 졸업연도 등을 쓰는데 보통 5줄 이내가 적당하다. |
References |
- 보통 일반적으로 'Available on request'라고 한 줄만 적는다.
- 이력서 제출시 Reference를 첨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면접 시 준비하고 있다가 요청 시 답변하는 것이 좋다. |
추가적항목 |
Personal |
- 나이, 가족관계, 건강상태, 특기사항, 결혼여부 등 개인적인 신상정보를 쓴다.
- 상황에 맞게 잘 판단하여 쓸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자신에게 이롭거나 지원회사가 원하고 있다고 판단할 경우에 쓰는 것이 좋다.
- 제목을 바꾸어 컴퓨터 활용능력이나 특기사항을 넣는 것도 좋다. 단, 자신에게 이롭게 작용할 것인지를 잘 고려하도록 한다. |
Military |
- 온전한 외국기업일 경우는 쓸 필요가 없다.
- 거의 한국화 된 기업이나, 국내에서는 중요시 되기도 하므로 기입할 수도 있다. 특히, 사회경력이 적은 경우
적어주는 것이 좋다. |
Skills, Licenses & Certifications, Others |
- 'Skills'를 'Experience'보다 앞에 기입하여 자신의 능력을 자세히 강조하는 형태로 작성할 수 있다. 이런 경우 지원하는 자리에 필요한 능력만을 강조하여 기술하는 것이 좋다. |
Affiliations |
- 업무
외적인 활동사항을 기록한다.
- 회사에게 좋은 인상을 줄 수 있는 것들만을 기입하는 것이 좋다. 사회봉사활동이나, 해외연수활동 등을 기입한다. |
주의사항 |
- 회사마다 분명히 고유의 색깔이 있으므로 최대한 그 회사, 그 자리에 맞는 이력서를 쓰도록 노력해야 한다.
- 분량은 최대 3장을 넘지 않는다. 스텝 레벨은 보통 1장, 매니저급은 2장이 적당하다.
- 문장 대신 간결한 어구로 표현한다. 마침표와 쉼표는 정확하게, 문법에도 신경을 쓴다. 주어인 ‘I’는 생략하고, 복수의 "S"와 시제에 주의한다.
- 약어는 줄이고 용어는 쉽게 표현하며, 인사 담당자가 모를만한 전문용어는 피한다.
- 개인적인 사항은 반드시 요구하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쓰지 않는 것이 좋다.
- 4개월 이하로 근무했던 직책은 밝히지 않는 것이 좋다.
- 자기에게 손해가 되는 사항은 절대로 기입하지 않는다.
- 최대한 Layout에 신경을 써서, 보는 이의 가독성을 높이도록 한다.
 |